생화학/생화학 (하)

[생화학] 시트르산 회로 (The Citric Acid Cycle)

리링. 2022. 8. 9. 18:57
728x90
반응형

시트르산 회로(Citric acid cycle)트라이카복실산 회로(Tricarboxylic acid cycle, TCA 회로) 혹은 크랩스 회로(Krebs cycle)라 불리기도 한다. 크랩스는 시트르산 회로의 발견자이다. 

시트르산의 구조

시트르산은 세 개의 카복실산(-COO- 혹은 COOH)을 갖는 6탄소 화합물이다. 시트르산 회로를 거치며 시트르산의 카복실기 2개는 CO2의 형태로 방출된다. TCA 회로의 명칭은 여기서 왔다.

 

시트르산 회로의 첫단계는 옥살아세트산(Oxaloacetate)이 아세틸-CoA로부터 아세틸기를 전달받아 시트르산(Citrate)을 형성하는 것이다. 아세틸기를 전달한 CoA는 다시 PDH 복합체로 돌아간다. 이후 시트르산은 여러 단계를 거쳐 두 분자의 CO2, 3분자의 NADH, 1분자의 FADH2와 GTP를 방출하며 옥살아세트산으로 다시 전환된다. 옥살아세트산은 다시 아세틸-CoA와 반응하며 회로의 두번째 회전을 시작한다.

 

이번 글에서는 시트르산 회로 각 반응의 기전과 회로가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본 글이 다루는 범위

 

1. 시트르산 회로 개요

 

시트르산 회로의 전체 반응

시트르산 회로의 첫 반응은 앞서 언급했듯 옥살아세트산과 아세틸-CoA의 반응이다. 이 반응으로 형성된 시트르산은 차례로 다음의 중간체를 거친다.

 

① 시트르산(Citrate)

② 아이소시트르산(Isocitrate)

③ α-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ate)

④ 석시닐-CoA(Succinyl-CoA)

⑤ 석신산(Succinate)

⑥ 퓨마르산(Fumarate)

⑦ 말산(Malate)

⑧ 옥살아세트산(Oxaloacetate)

 

위 중간체는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 대사체일 뿐만 아니라, 생체 내 다양한 반응에서 합성의 전구체, 대사체, 운반체 등으로 이용된다. 각 반응은 모두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일어나며, 시트르산 회로 1회전은 결과적으로 아세틸-CoA의 아세틸기 탄소 2개가 CO2로 산화되는 셈이 된다.

 

그렇다면 왜 아세틸기는 그 자체로 산화되지 않고 복잡한 회로를 거치는가? 아세틸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아세틸기의 구조

아세틸기의 한쪽 끝은 메틸기(-CH3)이기 때문에, 아세틸기가 산화되면 메테인(CH4)과 이산화탄소(CO2)로 산화된다. 메테인은 매우 안정된 분자이므로, 생체 내에서 아세틸기의 산화로 생성된 메테인을 다시 이산화탄소로 완전 산화시킬 수 있는 효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고메테인 환경에서 사는 메탄균은 예외이다.) 하지만 메틸기를 메틸렌기(-CH2-)로 바꾸면 이는 쉽게 생체 내에서 대사될 수 있다. 즉, 아세틸-CoA와 옥살아세트산의 결합은 아세틸기의 메틸기를 시트르산의 메틸렌기로 바꾸는 과정이라 이해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시트르산 회로 각 단계에 대한 사항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자.

 

 

2. 시트르산 회로의 반응

 

1) 시트르산의 생성

 

옥살아세트산(Oxaloacetate) + 아세틸-CoA(Acetyl-CoA) → 시트르산(Citrate)

옥살아세트산과 아세틸-CoA는 시트르산 생성효소(Citrate sunthase)에 의해 시트르산으로 축합된다. 이 반응에서 물이 한 분자 첨가되며, CoA는 방출되어 PDH 복합체로 돌아간다.

 

시트르산 생성효소의 기전

우선 옥살아세트산이 시트르산 생성효소에 결합하고 나면, 시트르산 생성효소의 아세틸-CoA 결합자리가 밖으로 드러난다. 그 후 복잡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아세틸-CoA의 아세틸기를 옥살아세트산과 결합시켜 시트로일-CoA(Citroyl-CoA)라는 중간체를 형성하고, 물을 첨가해 CoA를 분리해 방출시킨다.

 

 

2) 아이소시트르산의 생성

 

시트르산(Citrate) → 아이소시트르산(Isocitrate)

시트르산은 아코니트산 수화효소(Aconitate hydratase)에 의해 아이소시트르산으로 전환된다. 이 반응은 cis-아코니트산(cis-Aconitate)이라는 중간체를 거친다. 이 반응은 양의 표준 자유에너지 값을 갖고 있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 아이소시트르산은 생성된 즉시 다음 반응을 거쳐 소모되므로 실제 자유에너지 값은 0에 가깝다.

 

 

3) 아이소시트르산의 산화 및 탈카복실화

 

아이소시트르산(Isocitrate) → α-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ate)

아이소시트르산 탈수소효소(Isocitrate dehydrogenase)에 의해 아이소시트르산은 산화 및 탈카복실화를 거쳐 α-케토글루타르산을 형성한다. 이 반응은 시트르산 회로에서 NAD+를 필요로 한다. 특이하게 세포질에서 이 반응은 NADP+를 필요로 하고, 인산 오탄당 경로에서처럼 NADPH의 생성을 위해 일어난다.

 

α-케토글루타르산은 글루탐산의 아미노기가 케톤기로 치환된 글루탐산의 케톤체(Ketone body)다. 둘의 전환은 나중에 배울 아미노산의 이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α-케토글루타르산의 산화 및 탈카복실화

 

α-케토글루타르산(α-Ketoglutarate) → 석시닐-CoA(Succinyl-CoA)

α-케토글루타르산은 α-케토글루타르산 탈수소효소 복합체(α-Ketoclutarate dehydrogenase complex)에 의해 탈카복실화되며, 동시에 CoA가 결합해 석시닐-CoA를 형성한다. 이 효소의 기전은 PDH 복합체의 기전과 매우 유사하다.

 

 

5) 석시닐-CoA의 전환

 

석시닐-CoA(Succinyl-CoA) → 석신산(Succinate)

석시닐-CoA는 석시닐-CoA 합성효소(Succinyl-CoA synthetase)에 의해 석신산으로 전환된다. 이때 CoA가 방출되며, GTP 또는 ATP 한 분자를 합성한다. 이는 당분해에서와 같은 기질 수준 인산화이다.

 

석시닐-CoA 생성효소의 기전

우선, 석시닐-CoA의 CoA는 가인산분해되어 방출된다.(①) 그 후, 석시닐-인산의 인산기는 효소의 His 잔기로 옮겨지고, 인산을 전달한 석신산은 효소 밖으로 방출된다.(②) 효소에 결합한 인산기는 GDP(또는 ADP)에 전달되어 GTP(또는 ATP)를 합성한다.(③) 만약 GTP를 합성했을 경우, GTP는 이인산 뉴클레오사이드 인산화효소(Nucleoside diphosphate kinase)에 의해 ATP로 전환된다.

 

 

6) 석신산의 산화

 

석신산(Succinate) → 퓨마르산(Fumarate)

석신산은 석신산 탈수소효소(Succinate dehydrogenase)에 의해 퓨마르산으로 산화된다. 이 과정에서 FADH2를 한 분자 생성한다. 석신산의 유사체인 말론산(Malonate)은 석신산 탈수소효소를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말론산과 석신산. 하나의 메틸렌기 차이가 난다.

 

7) 퓨마르산의 수화

 

퓨마르산(Fumarate) → L-말산(L-Malate)

퓨마르산은 퓨마르산 수화효소(Fumarate hydratase, Fumarase)에 의해 말산으로 수화된다. 

 

 

8) 말산의 산화

 

L-말산(L-malate) → 옥살아세트산(Oxaloacetate)

말산은 L-말산 탈수소효소(L-malate dehydrogenase)에 의해 산회되어 옥살아세트산을 생성한다. 이 반응은 매우 큰 양의 표준 자유에너지 값을 갖고 있는데, 옥살아세트산의 세포 내 농도는 매우 낮아 반응의 실제 자유에너지 값은 음수로 유지된다.

 

 

3. 시트르산 회로의 결과

 

시트르산 회로 1회전의 생성물은 다음과 같다.

 

시트르산 회로 1회전의 생성물

3분자의 NADH, 2분자의 FADH2, 1분자의 GTP(ATP)가 생성된다. 나중에 더 자세히 다루겠지만, 산화인산화에서 NADH는 2.5분자, FADH2는 1.5분자의 ATP를 생성한다. 결과적으로 1분자의 포도당은 당분해, 시트르산 회로, 산화인산화를 거쳐 약 30~32분자의 ATP를 생성하게 된다.

 

 

4. 시트르산 회로의 조절

 

시트르산 회로는 크게 네 단계에서 조절된다.

 

① 피루브산 → 아세틸-CoA

② 옥살아세트산 + 아세틸-CoA → 시트르산

③ 아이소시트르산 → α-케토글루타르산

④ α-케토글루타르산 → 석시닐-CoA

 

시트르산 회로 전체 반응의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①, PDH 복합체의 반응이다. 모든 조절 단계는 시트르산 회로의 산물(ATP, NADH)에 의해 억제되고, 기질(ADP, NAD+)에 의해 촉진된다. PDH 복합체는 특히 에너지가 많다는 신호(아세틸-CoA, 지방산 등)에 의해 추가로 억제되고, 에너지가 부족하다는 신호(AMP, CoA 등)에 의해 추가로 촉진된다.

 

 

시트르산 회로의 중간체들에 대한 사항은 꼭 알아두자. 나중에 배울 지방산, 아미노산의 이화, 생합성 경로 등에서 꾸준히 나오는 분자들이다.


오늘 배운 내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