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휴지통39

[생화학] 아미노산 (Amino acid) - 1 단백질(Protein)은 세포에서 일어나는 거의 모든 과정을 중개한다. 그래서 모든 세포는―심지어 생물인지 논란이 있는 바이러스(Virus)조차도― 다양한 단백질을 세포 내에 갖고 있다. 단백질은 매우 복잡한 3차원 구조로 되어 있고, 이러한 3차원 구조는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한다(structure defines function).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긴 아미노산 사슬이 접힘으로써 형성되는데, 접힘을 결정하는 것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각각의 성질이다. 때문에 아미노산에 대해 아는 것은 단백질을 공부하는데, 더 나아가 단백질로 구성된 효소로 매개되는 생체 내 화학반응을 다루는 학문인 '생화학'을 공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아미노산(Amino acid)은 공통된 구조를 갖는 분자들을 일컫는 .. 2024. 2. 18.
삼투질농도(Osmolality)와 긴장성(Tonicity) 1. 삼투현상(Osmosis) ​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진 두 용액 사이에 용매만 통과 가능한 반투과성 막을 두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삼투현상(Osmosis)이라 한다. ​ 쉽게 말해, 반투과성 막 때문에 녹은 물질은 움직일 수 없는데 두 용액의 농도는 맞춰줘야 하니 물이 대신 이동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 위 그림에서처럼 물이 이동하면 두 용액간 높이 차이게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높이 차이를 만드는 힘을 삼투압(Osmotic pressure)이라 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삼투현상이 종결된 시점에서 두 용액의 높이 차이를 측정하면 된다. ​ ​ 2. 삼투압(Osmotic pressure) ​ 그렇다고 모든 용액에서 저렇게 높이 차이를 측정할 수는 없.. 2024. 2. 18.
[유기화학] 알케인의 명명 (Nomenclature of Alkane) - 2 앞선 글에서 탄소 수가 많아질 경우 관용명(Common name)으로는 탄화수소의 이름을 만들어내기 어렵다는 걸 알아봤다. 이번 글에서는 알케인의 체계적 명명법(Systematic nomenclature), 혹은 IUPAC 명명법(IUPAC nomenclatur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체계적 명명법 ① 가장 긴 사슬, 주사슬(Parent hydrocarbon)을 찾는다. 알케인의 이름을 붙이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단계는 주사슬을 찾는 것이다. 주사슬(Parent hydrocarbon)은 여러 가지가 뻗은 탄화수소 내에서 가장 긴 탄소 사슬을 의미한다. 주사슬이 무엇인지 파악할 때 그림, 혹은 구조식에 속지 않아야 한다. 위 그림에서처럼 주사슬은 일직선으로도, 꺾인 채로도 표시될 수 있다.. 2023. 10. 10.
[유기화학] 알케인의 명명 (Nomenclature of Alkane) - 1 유기화학을 공부하는 데 있어, 또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유기화합물의 명명법(Nomenclature)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유기화합물 중 가장 기본적인 알케인(Alkane)과 자주 쓰이는 치환기의 명명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글 말미에는 명명을 연습해 볼 수 있는 몇 가지 문제도 수록해 두었으니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1. 곧은 사슬 알케인(Alkane)의 명명 알케인, 또는 알칸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유기화합물이다. (알칸은 일본에서 넘어온 독일식 발음인데, 대한화학회의 화학 용어 개정안에 따르면 미국식 발음인 '알케인'으로 표기하는 걸 권장한다. 이 글에서도 미국식 표기를 따를 것이다) 알케인은 오직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탄화수소(Hydro.. 2023. 9. 29.
[유기화학] 산과 염기 (Acids and Bases) 산-염기 반응은 유기화학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반응 중 하나이다. 유기화합물과 다양한 치환기(Substituent group)의 거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 산-염기의 원리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산-염기의 정의와, 유기화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몇 가지 산-염기의 원리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자. 1. 산-염기의 정의산-염기의 정의는 보통 세 가지로 구분된다. 아레니우스, 브뢴스테드-로우리, 루이스의 정의가 그것인데, 이들 정의를 각각 외우는 건 비효율적이기도 하거니와, 산-염기 반응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조금 더 쉬운 비유를 들어 산-염기 반응이 무엇인지 이해해 보자.'산도'란 산의 세기를 의미한다. 산도의 단위는 조금 이따 다시 다루도록 하고. 어떤 물질의 산도가 높다.. 2023. 9. 19.
[유기화학] 전자 구조와 결합 (Electronic Structure and Bonding) - 2 공부를 하다 보면, 특정 개념을 보고, 그 개념의 어감이 주는 무시무시함에 지레 겁먹고 포기해 버릴 때가 간혹 있다. 수학에서의 미적분(Calculus)이 그랬고, 화학에서는 오비탈(Orbital), 특히 오비탈의 혼성화(Hidridization)가 그랬다. 고등학교 화학에서는 오비탈의 혼성화에 대해 제대로 다루지 않았어서 내 걱정은 그저 기우(杞憂)였지만, 오비탈에 대한 막연히 두려워했던 기억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이 글에서는 오비탈의 혼성화(Hidridization)에 대해, 탄소 간 결합에 중점을 두어 다룰 것이다. 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혼성 오비탈 모형 자체에 대해 잠깐 짚고 넘어가도록 하자. 원자 정도의 스케일에서, 원자들의 상호작용은 양자역학적 거동을 따른다. 즉, 오비탈을 포함해.. 2023. 9. 2.
728x90
반응형